SEO최적화 진단해보기
내 사이트 점수는?
검색엔진에 사이트가 등록이 안되시나요? 혹은 사이트 로딩 속도가 느리신가요? 이는 SEO최적화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아래에서 사이트 로딩속도와 SEO최적화 점수를 확인해보세요.








검색엔진에 사이트가 등록이 안되시나요? 혹은 사이트 로딩 속도가 느리신가요? 이는 SEO최적화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아래에서 사이트 로딩속도와 SEO최적화 점수를 확인해보세요.
Uber Suggest의 Neil Patel 씨가 운영하는 SEO 진단 사이트에서 체크리스트를 공개하였습니다.
Domain Authority 파워와 트래픽
백링크의 질 quality가 훨씬 중요
그에 못지 않게 traffic에 기여하는 백링크의 수도 중요함
고유의 도메인과 IP로부터 참조받은 횟수
유사키워드, 키워드 리서치 통찰력
해당 키워드의 검색량/볼륨
해당 키워드의 Cost Per Click가격
해당키워드의 PPC 유료광고의 경쟁력 (단가)
구글의 키워드 트렌드에서 본 검색량
타이틀 태그의 최적화정도와 키워드 언급 횟수
메타디스크립션의 분석 및 키워드 중요도
컨텐츠 길이 (적어도 500자 내외 및 링크가 걸리지 않은 단어의 수까지 카운트)
내부 링크 분석(내부 링크 숫자와 중복 링크 횟수 카운트)
페이지 헤더의 사용이 적절히 쓰였는지 (중요 키워드 포함 하는지 및 글자수)
구글에서 평가하는 속도(모바일 편의성 당연히 더 중요)
모바일 사용자 편의성(로딩 속도 1초당 구매전환율 2%, 모바일 기준)
PC 사이트 로딩속도
Accelerated Mobile Pages 모바일 페이지 가용성 체크
캐노니컬 URL 되어있는지 체크 (구글 가이드 링크)
robots.txt파일의 유무 (사이트마다 파일의 형태가 다르다. ex.관공서/xhtml)
소셜 시그널 authority (SNS 시그널의 언급도)
(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검색엔진최적화 ) 는 사이트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네이버, 구글, 유튜브와 같은 검색엔진 사이트에서 상위노출이 될 수 있도록 작업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이는 크게 개발자 측면에서 접근하는 테크니컬 seo 와, 핵심 키워드로 양질의 컨텐츠를 만들어 상위노출을 달성하는 컨텐츠 seo 로 구분합니다.
( Search Engine Marketing / 검색엔진마케팅 ) 은 키워드 상위노출을 달성하여, 고객이 구매결정을 내리기 전에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마케팅 기법입니다.
네이버 파워링크, 구글광고,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광고, 유튜브 광고와 같은 유료광고들은 노출이 될 때마다 예산을 지불해야하며, 경쟁강도에 따라 광고단가가 올라가는 경매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들은 단기적인 효과를 낼 순 있지만, 불필요한 마케팅 비용을 만들어내며, 광고가 중단되면 홍보가 바로 중단되어버리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SEO를 통한 마케팅은 작업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반영구적인 키워드광고가 가능하며, 자신의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고객들에게 인식시킬수 있는 궁극의 마케팅입니다.
organic traffic, 키워드 유무, 사이트 등록, sitemap 크롤링, sns 및 유튜브, 테크니컬 seo, 컨텐츠 seo, 이메일 마케팅, pixel 확인, DMCL
경쟁사 혹은 벤치마킹 대상의 트래픽 및 키워드 분석, sns광고 여부 확인, 고객의 의도(intention)에 맞는 키워드 및 유사 키워드를 분석. 각 검색엔진별 작업할 키워드를 전략적으로 선정하여 작업
on-page, off-page seo 확인, 사이트 토픽과 관련된 주제로 링크체인을 빌드하여 백링크 작업
서울시 중랑구 상봉로12길 1 경원리더스 빌딩
© 2021 Tomodazzi. All rights reserved.